naver-site-verification: naver1b287ac1ea38eb9e52009a2ec245bb96.html 1억으로 늘어난 예금자보호한도, 이제는 쪼개기 NO! 똑똑한 활용법 총정리
본문 바로가기
정보

1억으로 늘어난 예금자보호한도, 이제는 쪼개기 NO! 똑똑한 활용법 총정리

by 리누세상 2025. 5. 28.




2024년 9월부터, 예금자보호 한도가 기존 5,000만 원에서 1억 원으로 2배 상향됩니다.
24년간 바뀌지 않던 이 제도가 드디어 손질되면서, 예금자들도 ‘큰 돈’을 더 안전하게 맡길 수 있게 되었어요.

하지만 단순히 “좋다!”에서 끝나면 안 되겠죠?
한도가 올라가면서 바뀌는 금융시장 흐름과, 실질적으로 나에게 이득이 되는 똑똑한 활용법까지 정리해봤어요.


---

✅ 예금자보호한도란?

금융사가 파산하거나 영업정지를 당해도 내 돈을 일정 한도까지 돌려받을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예금보험공사가 최대 1인당 1금융기관 기준 1억 원까지 원금+이자를 보장해줍니다. (기존 5,000만 원)


---

🔄 달라지는 점 정리

1. 쪼개기 이제 그만!

그동안 5,000만 원씩 여러 금융사에 쪼개 예치해야 했지만,
이제는 한 곳에 1억 원까지 안심 예치 가능!
계좌관리가 훨씬 간편해지고, 금리 높은 상품에 ‘몰빵’도 가능해졌어요.

2. 고금리 머니무브 본격화

1억 원까지 보호되니, 고금리 저축은행 등 **2금융권 이동(Money Move)**도 늘어날 전망이에요.
현재 1·2금융권 금리 차이는 약 0.4%p로, 동일 자금이라도 이자 수익은 연 20만 원 가까이 차이가 날 수 있어요.

3. 은행 간 금리 경쟁 더 치열

한도 상향으로 보호 대상이 추가로 약 241조 원 확대되면서,
금융사 간 고객 유치 경쟁도 심화되고 있어요. 일부 저축은행은 예금금리를 올리는 추세예요.

4. 대출금리엔 영향 있을 수도

예금자보호기금 적립 부담이 커져 은행의 비용 증가 →
일부는 대출금리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어요. 예금자 입장에서는 이 부분도 눈여겨봐야 해요.


---

💡 똑똑하게 활용하는 TIP 4가지

🔸 ① 금리만 보지 말고 안정성 체크

PF 비중 높거나 연체율 높은 금융사는 주의

신용등급과 BIS비율 확인도 추천


🔸 ② 보호 대상인지 꼭 확인!

정기예금, 적금, 상호금융, 연금저축 등은 포함

주식·펀드·채권은 예금자보호 대상 아님!
→ 금융상품 가입 전 꼭 체크!


🔸 ③ 중도해지 시 불이익 확인

약속한 금리 못 받거나 수수료 발생

비과세 저축이나 ISA 계좌 등 절세 상품 우선 고려


🔸 ④ 자산 규모에 맞는 전략 수립

1억 원 초과 시, 두 금융기관에 분산 예치 필요

부부 명의로 나누거나, 보호 대상 상품끼리 나누는 방법도 좋아요



---

🧾 마무리 요약

구분 변경 전 변경 후

예금자보호 한도 5,000만 원>> 1억 원
적용 시점 ~2025년 9월부터
쪼개기 필수 선택
고금리 전략 제한적 확대 가능